수출 상담액 21억7천8백만 달러·11만5천 명 관람… AI 대전환 공감대 확산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2025 미래혁신기술박람회(FIX 2025)’가 22일부터 25일까지 나흘간 11만5천여 명이 방문하며 성황리에 폐막했다.
행사 3일차에는 타운홀 미팅을 마친 이재명 대통령이 로봇 전시관을 깜짝 방문해 기업인들을 격려해 관심이 집중됐다.
올해 FIX 2025는 585개 기업, 2천 부스 규모로 개최됐으며 해외 참가기업이 117개사(20%)를 기록하며 글로벌 박람회로서 의미 있는 진전을 보였다.
코트라와 연계한 수출상담회 또한 북미·유럽 핵심 바이어 초청을 강화해 상담액 21억7천8백만 달러, 계약추진액 7억9천만 달러를 달성했다.
전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한 비즈니스 성과를 거둬 대기업 구매 상담액도 744억 원 규모로 집계됐으며 전시 전반에 걸쳐 AI 연계성을 강화한 점이 특징이다.

동관 모빌리티 전시에서는 HL로보틱스 ‘주차로봇 파키’, 샤오펑 UAM ‘X2’, 티머니 태그리스 결제 시스템, 브이스페이스 ‘VS-300’ 등이 주목받았다.
서관 로봇 전시에서는 K-휴머노이드 ‘앨리스’, 유니트리 ‘G1’ 복싱 시연, 반려로봇 ‘케미’ 등이 관람객 발길을 모았다. ICT 분야에서도 해외·국내 대표 기업들이 참여해 AI 기반 디지털 혁신 역량을 선보였다.
국제 콘퍼런스에는 샤오펑 왕담 공동창업자, 벡터AI연구소 고탐 카마스 교수, 생성형AI 토종기업 뤼튼 이세영 대표 등이 기조연설을 맡아 글로벌 산업 인사이트를 제시했으며, 이세돌 전 프로기사의 강연도 큰 관심을 끌었다.
한편, 지역 기업들도 MOU 및 수출 계약(약 700만 달러) 성과를 올렸으며, 해외 바이어를 대상으로 한 오페라축제·사유원 투어 등 마이스 프로그램을 통해 대구의 매력을 함께 홍보했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은 “FIX 2025는 지역 산업구조 재편의 결실이자 AX 혁신의 출발점”이라며 “대통령의 현장 방문을 계기로 ‘AI로봇 수도’, ‘미래모빌리티 선도도시’ 도약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